본문 바로가기

Enjoy 라이프

예약부도 노쇼(No-Show), 당신은 ‘노쇼족’인가요?


노쇼(No-Show)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얼마 전, 스타 쉐프 최현석은 노쇼 고객으로 인해 월 2,500만 원의 손실이 난다고 언급해 더욱 화제가 됐는데요. SNS를 통해 노쇼의 문제를 알리고, 이를 막는 캠페인을 진행해 백종원과 이연복 쉐프도 홍보에 동참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한 일간지에 따르면, 호텔과 병원, 음식점 등 서비스 부문 1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적으로 예약 불이행률이 15%, 이중 음식점의 예약 부도율이 20%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노쇼(No show), 왜 이렇게 문제가 되는 것일까요? 

먼저 그 뜻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쇼(No Show)는 우리말로 '예약 부도'라고 하며, 영어 단어 그대로 ‘보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외식이나 항공, 호텔 업계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예약했지만 아무런 연락 없이 예약 장소에 나타나지 않는 손님 (예약 시간이 되어도 손님이 보이지 않는다!)을 의미합니다.


노쇼(No-Show)에서 파생된 ‘노쇼족’은 자신의 편의를 위해 예약을 한 후 연락도 없이 오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업계의 새로운 용어가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노쇼’, 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일까요? 


‘나 혼자 식당 전체를 예약한 것도 아니고 다른 사람을 받으면 될 것을 뭐가 그렇게 큰 문제일까?’ 하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식당 주인의 입장에서는 손님이 예약하면 예약석을 마련하고, 다른 손님은 받지 않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약한 손님으로 인해 예약하지 않는 손님들을 돌려보냈는데 예약 손님이 오지 않는다면? 업주 입장에서는 경제적 손실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100% 예약제로 운영되는 업장의 경우 그 손실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죠. 







노쇼로 인한 피해는 비단 업장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비자는 최상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예약을 하고 업주 또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예약을 받죠. 하지만 노쇼(No-Show)로 인해 호텔이나 음식점, 항공사, 병원 등에서는 빈 좌석이나 빈 시간을 제때 다른 고객으로 대체하기 힘들고 미리 준비한 자재나 용품을 소비하는 경우도 있어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 가격 상승과 서비스 제한으로 말입니다. 또한, 소비자의 권리를 위해 ‘예약제’를 운영하던 것에서 ‘선착순제’로만 운영하는 업장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부분 사람이 개인적인 약속을 어겼을 경우 자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으로 인해 걱정하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왕’이라는 생각으로 인해 노쇼에 대한 문제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비자의 권리를 위해 앞장선다면, ‘노쇼(No-Show)’는 기본으로 갖춰야 할 에티켓임을 유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