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은 여름부터 시작해 가을까지 발병율이 높은 질병입니다. 최근 한 달 사이에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가 2배 가까이 급증했다는 뉴스 기사가 나오고 있는데요. 질병관리본부에서도 현재 수족구병이 유행기에 접어들고 있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집단생활 공간에서 확산 위험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로 일종의 장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합니다. 호흡기와 대변, 침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감염되고 수건이나 장난감 등의 매개체를 통해 옮기도 합니다. 생후 6개월부터 5세 이하 영유아들의 발병률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수족구병의 증상은 수두와 비슷합니다. 다만, 수두는 물집이 몸통에 주로 생기는데 반해, 수족구병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손과 발(수족), 입(구), 엉덩이 등에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 두통과 함께 설사, 구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열을 동반하여 자칫 몸살 감기로 착각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입안이 헐고 심한 탈수 증상을 보인다면 주저 말고 병원으로 직행하시기 바랍니다.
수족구병의 전염성
수족구병의 잠복기는 4~6일로 짧은 편이며, 물집이 생긴 후 이틀간이 전염률이 가장 높은 시기입니다. 따라서 손이나 입안, 발 등에 물집이 생겼다면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3~4일이 지나고 열이 떨어지면 전염성도 다소 약화되기 때문에 물집이 남아 있더라도 외출은 가능하며, 심한 열이나 탈수 증상이 없을 경우 7~10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고 합니다.
내용 출처: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수족구병 예방법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되기도 하고, 장난감이나 매개체를 통해 전염이 되기 때문에 외출 후나 식사 전후, 배변 후, 기저귀 교체 전후에는 반드시 손 씻기를 생활하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들의 장난감과 놀이기구, 집기 등은 잘 소독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엄마 아빠의 입안에 있는 충치균 등 각종 세균은 뽀뽀를 통해 아이에게 전염됩니다. 입안에 넣었던 숟가락이나 음식을 아이에게 주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에 걸렸다면?
만약 우리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다면 열이 날 때는 미지근한 물로 온 몸을 닦아주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물을 수시로 마시게 해줍니다. 또한, 입안에 물집 때문에 일반 음식보다는 삼키기 편한 미음, 죽 등의 음식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의 증상과 예방법 잘 확인하시고, 온 가족 건강하게 여름 나시길 바랍니다.
'Enjoy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견례하기 전, 꼭 알아야 할 꿀팁 (1) | 2016.05.24 |
---|---|
탈모 예방에 좋은 음식으로 건강한 두피와 풍성한 모발 만들기 (0) | 2016.05.20 |
성년의 날, 의미있는 선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6.05.12 |
스승의 날 선생님 선물, 고르셨나요? 선생님께 꼭 필요한 선물 Best 3! (0) | 2016.05.11 |
아토피에 효과 좋은 자연치료방법, 가려워서 고생하고 있다면? (0) | 2016.04.28 |